본문 바로가기

JavaScript6

유사 배열 객체와 배열의 차이 유사 객체 배열(array-like objects)란 무엇이고 배열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간단하게 알아보겠다. 정의 유사 객체 배열은 배열처럼 보이지만 사실 key가 숫자이고 length 값을 가지고 있는 객체를 말한다. JS에서 querySelectorAll이나 document.body.children으로 엘리먼트를 가져오면 유사 배열 객체에 담겨서 온다. 예시 HTML Hello World I'm Programmer JavaScript const texts = document.querySelectorAll('.text'); console.log(texts); 결과 저 놈이 유사 배열 객체이다. 배열처럼 보이지만 사실 풀어보면 아래와 같이 된다. { 0: div.text, 1: div.text, 2: .. 2022. 3. 20.
JavaScript의 ES(ECMA Script)란? JavaScript와 ECMA Script 둘 다 뒤에는 Script라는 키워드가 붙지만, 자바스크립트는 언어이고, ECMA 스크립트는 규격, 표준 즉, 스펙을 말합니다. ECMA Script(ES)? ECMA스크립트(ECMAScript, 또는 ES)란, Ecma International이 ECMA-262 기술 규격에 따라 정의하고 있는 표준화된 스크립트 프로그래밍 언어를 말합니다. ECMA스크립트는 자바스크립트를 표준화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자바스크립트를 ECMA(European Computer Manufactures Association)라는 정보와 통신시스템의 비영리 표준 기구에 제출하였고 표준에 대한 작업을 ECMA-262란 이름으로 1996년 11월에 시작해 1997년 6월에 채택되었습니다... 2022. 3. 20.
JS 가운데 글자 가져오기 - 알고리즘 문제 function solution(s) { return Number(s) } console.log(solution('-1234')) // -1234 console.log(solution('1234')) // 1234 정말 쉽게 푼 문제 인거 같다~ ㅋㅋㅋㅋ "Number()"이라는 메서드 처음 알았지만 편리한거 같다~ ㅋㅋㅋㅋ 이 메서드 외에도 문자열을 숫자로 변환 시켜주는 메서드 이다. Number() 함수를 사용하여 JavaScript에서 문자열을 숫자로 변환 parseInt() 함수를 사용하여 JavaScript에서 문자열을 정수로 변환 Math 객체를 사용하여 JavaScript에서 문자열을 정수로 변환 2022. 3. 15.
JS 두 정수 사이의 합 - 알고리즘 문제 function solution(a, b) { var answer = 0; if (a == b) { return answer += a } else { for (let i = Math.min(a,b); i 2022. 3. 15.
JS 가운데 글자 가져오기 - 알고리즘 문제 function solution(s) { var answer = ''; if (s.length % 2 == 0) { answer += s[(s.length/2) - 1] + s[s.length/2] } else { answer += s[(s.length - 1) / 2] } return answer; } console.log(solution("abcde")) // c console.log(solution("qwer")) // we 단어 길이의 짝수와 홀수의 출력 값이 달라서 먼저 짝수와 홀수를 구분 할수 있게 만들어야 된다. 그후 문자열의 접근 하기 위해, 총길의 중간값을 알아내면된다. 그리고 문자열의 접근할때는 0이 첫번째이기 때문에 -1을 해줘야 그 문자열의 총 길이가 나온다. # 짝수 일때는 문자열.. 2022. 3. 14.
파이썬 기초 문법과 크롤링 하는 방법 파이썬 기초 문법 변수 & 기본연산 a = 3 # 3을 a에 넣는다 b = a # a를 b에 넣는다 a = a + 1 # a+1을 다시 a에 넣는다 num1 = a*b # a*b의 값을 num1이라는 변수에 넣는다 num2 = 99 # 99의 값을 num2이라는 변수에 넣는다 # 변수의 이름은 마음대로 지을 수 있음! # 진짜 "마음대로" 짓는 게 좋을까? var1, var2 이렇게? 자료형 - 숫자, 문자형 name = 'bob' # 변수에는 문자열이 들어갈 수도 있고, num = 12 # 숫자가 들어갈 수도 있고, is_number = True # True 또는 False -> "Boolean"형이 들어갈 수도 있습니다. ######### # 그리고 List, Dictionary 도 들어갈 수도 있죠.. 2022. 2. 17.